주식 용어 완벽 정리: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설명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는 초보자들에게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는 복잡한 금융 용어입니다. "PER", "MACD", "골든크로스" 같은 용어들은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외계어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식 투자에 필요한 주요 용어들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여, 여러분의 투자 여정을 돕고자 합니다.
초보자를 위한 팁
모든 용어를 한번에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처음에는 기본 용어부터 익히고, 투자 경험이 쌓이면서 점차 다양한 용어들을 배워나가세요. 이 글을 북마크하고 필요할 때마다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1. 기본 용어
주식 투자를 시작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용어들입니다.
삼성전자의 주식 1주를 보유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삼성전자라는 거대 기업의 아주 작은 부분을 소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삼성전자가 잘되면 주가가 상승하거나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70,000원이라면, 삼성전자 주식 한 주를 사기 위해서는 70,000원(+ 수수료)이 필요합니다.
만약 삼성전자가 주당 1,416원의 배당금을 지급한다면, 100주를 보유한 주주는 141,600원의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주가가 50,000원이고 발행된 주식이 1,000만 주라면, 시가총액은 5,000억 원입니다(50,000원 × 1,000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등이 대표적인 증권사입니다. 계좌를 개설하고 자금을 입금한 후에 주식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2. 시장 관련 용어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용어들입니다.
"오늘 코스피 지수는 2.5% 상승했다"라는 뉴스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들의 가격이 전체적으로 2.5% 상승했다는 의미입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카카오게임즈, 에코프로 등 많은 성장주들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2년 1월 27일에 코스피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카카오는 2017년 IPO를 통해 코스피 시장에 상장했고, 이후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을 매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 초반에는 하락했지만, 장 막판에 반등했다"라는 표현은 거래 시작 시간대에는 주가가 하락했으나, 마감 직전에 상승했다는 의미입니다.
전일 종가가 10,000원인 주식의 당일 상한가는 13,000원, 하한가는 7,000원입니다.
강세장(불마켓):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시장 상황
약세장(베어마켓):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시장 상황
2020년 3월 코로나19로 인한 급락 이후, 2020년 4월부터 2021년 말까지는 전 세계적으로 강세장이 이어졌습니다.
3. 차트 분석 용어
주가 차트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입니다.
캔들의 몸통은 시가와 종가를, 위아래 선(심지)은 고가와 저가를 나타냅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20일간의 종가 평균을 매일 계산하여 연결한 선입니다.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으면 단기적으로 강세, 아래에 있으면 약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지선: 주가가 하락할 때 더 이상 떨어지지 않고 반등하는 가격대
저항선: 주가가 상승할 때 더 이상 오르지 못하고 하락하는 가격대
삼성전자 주가가 여러 차례 64,000원까지 하락했다가 반등한다면, 64,000원은 지지선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72,000원에서 여러 차례 상승이 멈췄다면, 72,000원은 저항선입니다.
골든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하는 것 (매수 신호)
데드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돌파하는 것 (매도 신호)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골든크로스, 하향 돌파하면 데드크로스라고 합니다.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데 거래량도 많다면, 이는 강한 상승 추세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반면, 거래량이 적다면 일시적인 상승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RSI가 80이라면 단기간에 많이 상승해 과매수 상태로,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RSI가 20이라면 단기간에 많이 하락해 과매도 상태로,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기본적 분석 용어
기업의 재무 상태와 가치를 판단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들입니다.
PER가 10배라면, 현재 주가는 1년 순이익의 10배라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산업 내에서 PER가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계산법: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